본문 바로가기

<기타 기록(정리중)>

(533)
[예술과 코칭] 소설-나무를 심은 사람(1966)_"오늘 당신이 심어야 할 나무는 무엇입니까?" █ 이 달의 문화콘텐츠: 소설 『나무를 심은 사람(1966)』 “오늘 당신이 심어야 할 ‘나무’는 무엇입니까?” 당신에게는 삶이 ‘행복’입니까 혹은 ‘고통’입니까? 이 질문에 지혜로운 사람들은 이렇게 이야기하더군요. ‘삶은 고통의 연속이다. 그러나 그 고통의 연속인 삶의 순간순간마다 배움을 얻고, 아주 작은 행복을 발견할 수 있는 힘을 키워나가는 과정이란 매력이 있다. 그 매력을 발견한 사람만이 신이 우리네 삶을 고통으로 채워둔 그 진심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당신은 그 매력을 알고 있는가.’라고 말입니다. 어때요. 당신은 그 매력을 알고 있습니까. 오늘 살펴 볼 소설 ‘나무를 심은 사람(1966)’은 20세기 시대의 작가 ‘장 지오노’가 집필한 글(원제 'The Man Who Planted Tree..
[Book Review] 분석심리학자가 바라본 대통령 ‘문재인’의 개성화 여정과 제언 - '운명에서 희망으로(2017)'을 읽고 책: 이나미(2017), 운명에서 희망으로, 서울: 다산북스 작성일: 2017-06-20 제목: 분석심리학자가 바라본 대통령 ‘문재인’의 개성화 여정과 제언 우리가 평상 시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이 쓴 책은 그 내용과 깊이를 재지 않고 구매하게 된다. 나에게 ‘이나미’ 학자가 그렇다. 평소 Jung 심리학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고, 관련 전문가들의 글 중에 ‘이나미’ 씨가 풀어낸 글들이 구미(口味)에 맞았다. 게다가 ‘문재인’이라니. 그는 지난 봄 뜨거운 대선을 치르고 19대 대통령이 된 분 아닌가. ‘이나미’와 ‘문재인’의 조합만으로도 바로 구매하게 되었다. 이 책은 분석심리학자 ‘이나미’와 (당시) 대선후보 ‘문재인’의 대담을 중심으로 풀어내고 있다. 책에도 문재인 구술, 이나미 씀이라 적혀 있다. ..
[Creative Coaching 14기] 5주차 댓글로 1분 성찰하기 5주차(6/10-6/16) 관련 질문 1. 지난 5주차 강의 내용 중 가장 기억에 남은 것은 무엇인가요? 그 이유는 무엇이지요? 2. 지난 5주차 강의를 듣고 난 후, 한 주를 어떻게 보냈나요? (시도한 것, 변화한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려운 점) 댓글양식 예) 1. 지난 강의 중 사전 인터뷰 내용을 이야기 한 것이..... 2. 자기대화일지를 처음 써 본 것이... * 내용과 분량은 자유입니다. * 작성하면서, 자신의 일주일을 정리해 보는 것이 첫 번째 목적이고, 두 번째 목적은 동기 간 서로의 삶의 과정을 공유하는 것에 있습니다. 편하게 작성하세요. ^^
[Creative Coaching 14기] 4주차 댓글로 1분 성찰하기 4주차(6/3-6/9) 관련 질문 1. 지난 4주차 강의 내용 중 가장 기억에 남은 것은 무엇인가요? 그 이유는 무엇이지요? 2. 지난 4주차 강의를 듣고 난 후, 한 주를 어떻게 보냈나요? (시도한 것, 변화한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려운 점) 댓글양식 예) 1. 지난 강의 중 사전 인터뷰 내용을 이야기 한 것이..... 2. 자기대화일지를 처음 써 본 것이... * 내용과 분량은 자유입니다. * 작성하면서, 자신의 일주일을 정리해 보는 것이 첫 번째 목적이고, 두 번째 목적은 동기 간 서로의 삶의 과정을 공유하는 것에 있습니다. 편하게 작성하세요. ^^
[Book Review] 공지영 작가의 가장 사적인 영적 기록들 – 공지영의 수도원 기행 1(2001), 2(2014)를 읽고 이 글은 우주보다 큰 존재가 초라하고 불쌍한 여자에게 접촉해 온 기록이다. (2권 p.6) 공지영 작가와는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1993)’로 처음 만났다. 그녀의 문체에 반한 나는 지금까지 그녀가 집필한 책은 대부분 읽어왔고, 몇 권은 소장하고 있다. ‘공지영의 수도원 기행 1,2’는 그러한 그녀가 집필한 책들 중 가장 사적인 기록들이다. 그녀의 강점인 소설이 아닌 에세이로, 소설 등에서 간간히 드러났던 그녀의 신에 대한 생각, 신과의 관계들을 직접적으로 풀어낸 자성적 에세이이다. 1권은 2001년에, 2권은 2014년에 기록되어 한 작가의 13년이란 세월 전후의 영적 깊이를 느낄 수 있다. 은근 2권이 1권보다 두꺼워진 것을 생각해 그만큼 그녀의 영성도 깊어졌단 근거가 되지 않을까. 무엇이든 ..
[Creative Coaching 14기] 3주차 댓글로 1분 성찰하기 ​ 3주차(5/27-6/1) 관련 질문 1. 지난 3주차 강의 내용 중 가장 기억에 남은 것은 무엇인가요? 그 이유는 무엇이지요? 2. 지난 3주차 강의를 듣고 난 후, 한 주를 어떻게 보냈나요? (시도한 것, 변화한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려운 점) 댓글양식 예) 1. 지난 강의 중 사전 인터뷰 내용을 이야기 한 것이..... 2. 자기대화일지를 처음 써 본 것이... * 내용과 분량은 자유입니다. * 작성하면서, 자신의 일주일을 정리해 보는 것이 첫 번째 목적이고, 두 번째 목적은 동기 간 서로의 삶의 과정을 공유하는 것에 있습니다. 편하게 작성하세요. ^^
‘2017년을 함께 살아간다’는 것에 대하여 – Project 2017의 50%을 점검하며 지난 토요일 오랜만에 만난 우리는 참 서로 반가웠습니다. 작게는 ‘카카오톡 그룹채팅방’을 통해, 나아가 월 1회 Skype에서 화상으로, 가끔은 번개로 연결되어 있던 우리였습니다. 아무도 궁금해 하지 않는 우리 각자의 한 해 계획을, 우리는 서로서로 궁금해 했습니다. 그 때 그 사람은 그걸 하고 싶다 했는데, 잘 하고 있을까 떠올리며 말입니다. 어떨 땐 상대방의 삶을 통해 내 자신이 미처 놓치고 있었던 부분에 대한 인식을 하기도 했지요. 어떤 이의 도전과 성취는 우리를 고무시켰고, 어떤 이의 도전과 좌절은 우리를 똘똘 뭉쳐 위로하고 함께 나아가자는 힘을 생각하게 했습니다. 또한 때때로 단톡방에 올라오는 [지금 내가 감사한 것]에 대한 내용들로 각자의 삶의 자리에서 ‘나는 지금 감사할 수 있는 게 무엇일까..
6월의 코치더코치 모집합니다 (6/25(일) 19:00-20:30) 6월의 코치더코치를 안내합니다. "코칭이 거듭될수록 내가 하는 질문이 바른 방향으로 가고있나 늘 의문이었다. 코치더코치를 통해 막힌 의문이 다는 아니지만 일정부분 해갈되는 경험을 했다" "정해진 시간내에 코칭을 할 때, 더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팁과 유의해야 할 점을 알게 되어 좋았다. 그리고 그동안의 코칭실습 과정에 대한 서로의 이야기를 공유하며 더욱 힘을 얻게 되는 좋은 경험이었다." 일정: 2017년 6월 25일 일요일 저녁 7시 00분 ~ 8시 30분 방법: 텔레 컨퍼런스 그룹 콜(Skype) * Skype 홈페이지: http://skype.daesung.com/main.asp * Skype는 컴퓨터(프로그램)와 핸드폰(어플리케이션) 모두 접속 가능합니다. 1. 코치더코치란? : 코치더코치를 ..